LDL 콜레스테롤 HDL 콜레스테롤 _ 건강검진 콜레스테롤 수치와 약물 부작용

콜레스테롤의 역할

콜레스테롤은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물질이다.
콜레스테롤이 체내에서 하는 일은 가장 먼저 세포막의 구성 성분을 이룬다.
우리 몸이 세포로 구성돼 있는데 그 모든 세포의 성분이 부족하면 어느 장기에 관계없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두 번째는 호르몬 재료가 된다.
부신피질로 만들어지는 스테로이드 호르몬인 코르티솔은 우리가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인체를 적절히 방어해 몸을 보호한다.
이런 것을 만들지 못하면 심한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반응이 나오지 않는다.

따라서 면역력도 떨어지고 급성 염증반응을 조절하기도 어렵고 감염질환에 대처할 수 없어 생명에 지장이 있을 수 있다.
코르티솔은 이외에도 에스트로겐이나 테스토스테론 또는 비타민D를 체내에서 합성할 때 기본 골격이 되는 재료다.
세 번째는 담즙, 즉 담즙의 구성 성분이다.
지방과 지용성 비타민의 소화 흡수에 필수 성분이라고 할 수 있다.
콜레스테롤은 대부분 간에서 합성한 뒤 인체가 사용하게 된다.
재료가 없거나 다른 이유로 콜레스테롤을 간에서 합성하지 못하거나 부족하면 생명 유지에 오히려 문제가 될 수 있다.
하지만 너무 많으면 동맥경화나 죽상경화 같은 장기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한다.
따라서 적정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콜레스테롤의 종류 및 콜레스테롤의 저하

총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은 것도 문제지만 나쁘다고 알려진 LDL 콜레스테롤도 당연히 문제가 된다.
이들이 많이 올랐을 때 죽상경화증과 동맥경화 위험이 올라가기 때문이다.
혈관이 좁아져 심장마비, 심근경색, 협심증 등이 생기고 뇌혈관은 중풍이나 뇌졸중 등의 위험이 올라간다.
반면 낮은 콜레스테롤이 유전적으로 문제가 되는 경우도 있다.
이런 경우는 유아기에 발육하지 않는다.
그리고 대변에서 지방변이 나오고 심지어 망막이 나빠져 앞도 보이지 않거나 중추신경계가 손상돼 제대로 움직이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지적 장애도 수반될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

또 일반적으로 노인의 경우 낮은 콜레스테롤이 문제가 될 수 있지만 지속적으로 영양섭취가 감소해 영양실조에 걸리는 경우다.
그런 분들은 먹을 게 줄어들기 때문에 일단 재료가 없어서 간이 콜레스테롤을 만들 수 없게 된다.
아니면 간경화가 있을 때도 간에서 콜레스테롤을 만들지 못하기도 한다.
이에 더해 노인 대부분은 고혈압과 당뇨병을 갖고 있어 콜레스테롤 저하제를 복용하고 있다.
그런데 밥을 먹지 못하는 경우에도 콜레스테롤 저하제가 포함된 약은 먹게 되므로 콜레스테롤이 완전히 바닥나기도 하는 것이다.
그럴 때는 매우 심각한 기력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고 한다.
또 전신쇠약과 인지기능도 더욱 떨어진다.
그리고 감염에 취약한 여러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LDL콜레스테롤과 HDL콜레스테롤

한편, 콜레스테롤은 우리 체내에서 단독으로 돌아다닐 수 없다.
땅 단백질에 실리고 다니지만 이 땅 단백질 입자가 작다고 고밀도지 단백질 즉 HDL콜레스테롤이라는 입자가 큰 것을 저밀도지 단백질 즉 LDL콜레스테롤이라고 부른다.
LDL콜레스테롤의 경우는 콜레스테롤을 말초 장기에 보내는 한편 HDL콜레스테롤은 혈관에서 간에 되돌리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문제는 LDL콜레스테롤은 입자가 매우 크기 때문에 동맥에 가서 다시 나오는 게 쉽지 않다.
그래서 붙기 쉽다.
LDL콜레스테롤이 혈관 벽에 부착하고 있어 타케 가미 동맥 경화증을 생기게 하고 혈관을 파열시키고 안에서 출혈이 생기면 파열하고 혈관이 갑자기 막히게 된다.
그래서 심근 경색이나 뇌졸중이다.
그런데 HDL콜레스테롤은 입자가 작고 혈관에 고여 있는 콜레스테롤을 청소하고 간에 데려오는 청소원의 역할을 한다.
이런 이유로 LDL콜레스테롤은 나쁘다며 HDL콜레스테롤이 좋다는 것이다.

건강검진 콜레스테롤 수치

 

LDL콜레스테롤이 매우 높다는 것은 당연히 좋지 않다.
실제로 LDL콜레스테롤 수치가 1mg/dl 갈 때마다 심혈관 질환 발생 위험이 2%씩 오른다고 한다.
HDL콜레스테롤은 1mg/dl 늘어날 때마다 오히려 심혈관 질환 발생 위험을 3%씩 더 낮추겠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LDL콜레스테롤을 낮추는 것도 중요하지만 HDL콜레스테롤을 높이는 것도 중요하다.
실제로 HDL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으면 치매에 걸릴 위험도가 낮아지면서 암에 걸릴 확률도 줄어든다.
그리고 HDL콜레스테롤이 높으면 유방 암을 예방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HDL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아야 어느 정도 자신의 역할을 하게 된다.
LDL콜레스테롤이 잘 움직이지 않을 때 데려오는 역할을 하기도 하지만 LDL은 높고 HDL는 낮으면 위험도가 훨씬 높아진다.
보통 HDL콜레스테롤은 60이상이 아니면 정상이 없다고 하지만 40보다 적으면 이는 낮은 HDL수치라고 판단한다.
이것도 위험도가 높은 경우에 속한다.
https://thumbnews.nateimg.co.kr/view610///onimg.nate.com/orgImg/jo/2017/09/27/00b3315c-6ff7-4e5b-9242-b07524b1f28a.jpg

고지혈증 치료제 콜레스테롤 저하제콜레스테롤을 포함하고 고지혈증이 심한 경우에는 생활 습관이나 음식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다.
이런 때는 약물을 쓰게 되는데 콜레스테롤을 포함하고 지방을 내리게 약은 크게 4~5가지로 나뉜다.
우선 스타틴 계열의 약이 있고, 또 콜레스테롤 흡수를 저해하는 약도 있다.
담즙산과 결합할 것으로 니코틴 산, 섬유소산계의 약도 있다.
가장 잘 사용되고 좋다고 알려진 것은 스타틴 계열의 약품이다.
널리 사용되고 효과도 좋다.
콜레스테롤이 간장에서 합성되는 것을 억제하고 효과를 나타낸다.
실제 약제를 사용하고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춘 결과 2차적으로 심장 혈관 질환의 위험이 줄어들기를 꽤 많이 입증됐다.
요즘은 심혈관 질환을 앓는 사람뿐 아니라 병 없는 사람에게도 스타틴 계열의 약을 사용한 곳, 예방 효과가 있다는 보고가 많다.
물론 이들도 누구에게나 해당되는 것은 아니므로 주치의와 잘 상의해서 복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고지혈증 치료제, 콜레스테롤 부작용스타틴의 가장 일반적인 부작용으로 10명 정도가 근육통이나 나른함, 소화 장애, 설사, 변비, 복통, 구토 등이 수반하는 것이 있다는.그 중에서 좀 더 심각한 것은 복용 초기의 근육으로 횡문근의 금융 핵증이라는서 녹아 부작용이 발생하면 소변이 붉게 나오고 심장 장애나 부정맥 등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런 경우에는 주치의와 상담해야 한다.
이 밖에 혈당치가 조금 상승되기도 하고 간에 독성 및 기억력 감퇴, 시력 저하 등이 생긴다.
그러나 이러한 것도 1000명에 한명꼴로 나타나는 부작용이라, 그다지 일반적이지 않다.
특히 여성과 65세 이상에서 음주를 잘하는 편, 심장 질환이나 간 질환을 가진 분이나 몸이 작은 편은 이런 부작용에 매우 취약할 수밖에 없다.
또 용량이 클수록 부작용이 심한 가능성이 있으므로 가급적 잘 조절해서 용량을 낮추는 것이 좋다.
또 약물을 복용할 때, 그레이프 후르츠와 함께 복용하지 말라는 말을 많이 하지만 스타틴도 자몽과 상호 작용이 있고 부작용의 가능성이 높다.
그러므로 스타틴 계열의 고지혈증 약을 복용할 때 또는 자몽의 섭취를 피해야 한다.
고지혈증, 콜레스테롤 관리오메가 3지방산은 고용량을 사용해야 하지만 중성 지방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단점은 지나치게 먹을 때 혈액 응고가 늦어서 혈액 응고제를 마시는 분들에 출혈이 심해지거나 위장 장애가 일어나는 일이 있다고 한다.
그래서 꼭 필요한 경우는 오메가 3서플리먼트를 섭취하는 것이 도움이 되지만 보통의 경우는 푸른 생선 등을 충분히 먹으면, 이것만으로도 훨씬 건강에 도움이 된다는 것.식물 섬유는 우선 불용성과 수용성으로 나뉜다.
불용성의 경우 보통 변비를 해결할 목적으로 먹는다.
수용성의 경우에는 적절히 변비도 해결하면서 혈청 콜레스테롤과 중성 지방 농도를 낮추는 효과를 보인다.
이들은 야채 등을 통해서 충분히 섭취하면 건강에 좋다.
결국은 고지혈증의 조절도 어쨌든, 혈액에 지방질 농도를 정상으로 유지하는 것이 목표이기 때문에 고혈압이나 당뇨병과 같다고 봐야 한다.
평생 관리가 필요하다.
그래서 원칙은 평생 복용 하지만 실제 체중을 줄이거나 다른 여러 위험 요소를 줄이고 적정 지질 농도를 유지하면 약의 용량을 줄이거나 일시적으로 중단하는 경우도 있다는.그래서 어떤 경우라도 정기적으로 검사를 하면서 꾸준히 평생 관리를 할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