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귀재 추천 – 인덱스펀드가 뭘까?의미, 수익률(feat. 액티브펀드)
사하!
여러분 안녕하세요. 주말에 비가 온 후 바람이 많이 불고 일교차가 큰 하루가 계속됩니다.
다들 감기 조심하셔야 돼요.
오늘은 세계적인 투자의 귀재 워런 버핏이 사랑하는 인덱스 펀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누군가가 워런 버핏에게 투자 조언을 구하면 그는 매번 인덱스펀드에 장기 투자하라고 말한다.
네요
( ⓒ wikimedia commons )
인덱스 펀드
인덱스 펀드는 ‘시장 수익률’을 추종하는 상품입니다.
삼성전자, LG, SK하이닉스 등 각각 한 종목의 주식을 따로 구매하는 것이 아니라, 각 업종의 대표 종목을 하나의 그룹으로서 일정 비율로 투자하는 펀드입니다.
미국의 S&P 500이나 한국의 코스피처럼 정해진 지수 수익률과 유사한 수익을 올릴 수 있습니다.
즉, 주가지수의 수익률 뿐만 아니라, 수익을 추구하는 상품인 것입니다.
그러니까 주가지수 전체를 봐도 수익률을 보다 쉽게 판단할 수 있죠.
그렇다면 버핏 씨가 인덱스 펀드를 추천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실은 미국에 관한 이야기입니다만, 그래도 인덱스 펀드를 조사하기 위해서 함께 봅니다!
!
주가는 장기적으로 상승하고, 그 장기적인 상승을 따라잡아도 더 큰 이익을 내려고 노력하는 것보다 훨씬 좋은 성과를 낼 수 있어요.즉, 중간중간에 계속 사고팔아서 시장 수익률을 웃도는 수익률을 내지 말라는 거예요.
※ 인덱스펀드(Index Fund)-시장수익률을 추종하고자 하는 펀드 ※액티브펀드(Active Fund)-시장수익률을 웃도는 성과를 내는 펀드
인덱스 펀드는 그냥 사놓고 잊고 있으면 되는 (버틴) 펀드라고 생각해 주세요. 장기투자인 셈입니다.
말은 쉽지만 이것이 인덱스 펀드 투자의 본질이자 핵심입니다.
보통 주식을 하는 사람들이나 이제 막 주식에 입문한 사람들은 금방 성과를 얻기 위해 하기 때문에 보통 액티브 펀드에 투자하려고 합니다.
최근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전세계 경제가 위기에 처해 있을 뿐 그동안 미국 증시는 장기간 상승해 온 것으로 유명합니다설명을 위해 코로나 이전 상황(2019년까지)을 기준으로 해 보도록 합시다!
!
(미국을 대표하는 시장지수 S&P500의 10년간 흐름 investing.com)
이미지처럼 2019년까지 하고 10년 동안 미국 주식 시장은 꽤 괜찮지 않나요?그래서인지 장기투자는 미국에서도 가능하다는 얘기가 있던데요. 미국의 경우나 그렇지, 다른 나라는 미국과 같은 상황이 아니라는 거죠.그러나 미국도 계속 상승한 것은 아니지만 2000년대 내내 부진했던 적도 있습니다.
주가가 원래 계속 오르는 것만은 아니에요. 올라가거나 내리거나 변화폭이 거의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보면 미국 증시는 꾸준히 상승했기 때문에 워런 버핏 씨는 이 인덱스 펀드를 추천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물론 어느 나라의 장기적 성장을 더 좋게 보느냐에 따라 본인이 선호하는 나라에 투자할 인덱스 펀드를 선택하면 될 것입니다.
결국 인덱스 펀드 투자의 핵심은 지지부진하거나 하락세에도 장기적으로 상승할 것이라는 믿음과 시장 수익률에 만족하는 마음을 가질 수 있습니다.
이건 저와의 싸움이 아닐까요? 투자는 정신력의 싸움이라고 생각합니다.
재테크 수단은 다양합니다.
그리고 오늘은 인덱스 펀드라는 또 다른 투자 수단을 소개해 드렸는데요.투자의 귀재 워런 버핏이 강력히 추천하는 만큼 한번 도전해 보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그럼 감기 조심하시고 이번 주 남은 요일도 화이팅 입니다!
!
사파!
(“사이다경제 바이바이”)
본 콘텐츠는 사이다경제 에디터 연두색 님의 기고문을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