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권에서 1등이 되는 것을 상상해 본 적이 있나요? 1등상금이 10억이면 10억 전액을 받는게 아니라 세금을 빼고 받는거 다들 아시죠? 급여를 받을 때 미리 내는 세금과 프리랜서나 아르바이트에 부과되는 3.3%의 세금이 모두 원천징수세입니다.
원천징수의무자(사업주) 입장에서는 근로자가 급여 전액을 받고 세금을 납부하지만, 사업주는 원천징수세를 미리 공제하여 신고해야 합니다.
왜 우리는 이렇게 미리 세금을 징수하려고 하는 걸까요? 오늘은 원천징수세의 의미와 신고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원천징수세 의미
원천징수세는 소득이 지급될 때 원천징수되는 세금입니다.
근로소득, 사업소득, 기타소득, 퇴직소득에 부과되는 소득세와 지방세를 말합니다.
원천징수세로 인해 급여 전액이 은행 계좌에 기록된 적이 없습니다.
왜 세금을 먼저 징수하나요? 직원들에게 월급 전액을 주고, 월급에서 세금을 공제해서 납부하게 하면 세금이 제대로 징수되나요? 얼마만큼의 세금을 내야하는지 알 수 없고, 기한 내에 납부하지 않는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국가의 세수 관리가 어려워질 것이다.
그래서 기업주들은 급여를 지급하기 전에 일정 비율의 세금을 공제하여 정부에 납부합니다.
이를 원천징수세라고 합니다.
근로자, 프리랜서, 일용직 근로자 등은 모두 고용주가 세금을 미리 납부합니다.
원천징수하여 납부한 세금을 원천징수세라고 합니다.
원천징수세 소득세
원천징수세, 소득세, 법인세는 국세와 지방세로 나누어 납부합니다.
국세는 한 번, 지방세는 한 번 납부하면 됩니다.
원천징수의무자(사용자)는 근로자로부터 원천징수한 소득세와 지방세를 다음 달 10일까지 납부하여야 합니다.
12월에 급여를 받았다면 1월 10일까지 신고하고 납부해야 합니다.
원천징수된 금액은 얼마입니까?
프리랜서의 경우 원천징수세는 3.3%입니다.
명확하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일용근로자는 6.6%의 급여를 받습니다.
일반근로자의 경우 신고한 과세소득 범위에 따라 차등적으로 신고 및 납부하여야 합니다.
이자, 배당금, 연금, 기타, 퇴직 등에 대한 원천징수세도 별도로 고시합니다.
일반근로자의 경우 월급여와 공제대상 가족수를 기준으로 원천징수세가 결정됩니다.
위 표에서 월 급여가 350만원 이상 352만원 이하인 사람의 공제 대상 가족이 2명인 경우 원천징수액은 102,220원이다.
8세~20세 자녀가 1명인 경우 12,500원을 공제하고 원천징수합니다.
매월 납부하는 원천징수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홈택스에 접속하신 후 간편근로소득세표를 검색하시면 위와 같은 창이 나옵니다.
여기서는 월급여공제 대상가족수와 8세~20세 자녀수만 입력하시면 간단하게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월급여 300만원, 공제대상 가족수는 3명, 8세 미만 자녀수는 20세 = 1 = 원천징수세를 계산해보겠습니다.
80% 기준 : 17,100원 100% 기준 : 21,380원 120% 기준 : 25,650원 여기서 80%, 100%, 120%란 무엇인가요? 100% 원천징수세를 기준으로 80%는 100%보다 원천징수세를 적게 납부하고 120%는 더 많이 납부합니다.
간단히 말해서, 80%는 적은 양의 원천징수세를 취하고, 120%는 많은 원천징수세를 가져갑니다.
매달 징수된 원천징수세는 연말정산 시 해당 연도의 소득 및 공제액과 비교하여, 세금을 많이 징수한 경우에는 환급해 드립니다.
반대의 경우에는 더 많은 비용을 지불해야 합니다.
80% 원천징수세액의 경우 소액의 세액이 공제되었기 때문에 연말정산시 세액이 지출될 가능성이 높다.
반면 원천징수세 120%를 징수하면 정기적으로 많은 세금을 공제했기 때문에 연말정산 시 환급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
원천징수 신고 마감일을 놓치면 어떻게 되나요?
미납에 대한 가산세(미납 또는 과소납부세액 × 3%) + (미납세액 × 0.022% × 미납일수)가 있습니다.
미납일수만큼 추가세가 부과되오니 꼭 납부하시기 바랍니다.
지금까지의 원천징수세와 소득세의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연말정산을 하는 이유 중 하나는 원천징수된 소득이 정확한지 확인하는 과정입니다.
다가오고 있지 않은가?
연말정산, 소득공제, 세액공제의 차이점을 알아보세요. 2024년이 한 달도 채 남지 않았습니다.
2024년 연말정산 준비가 딱 그만큼 남았습니다.
짧지만 이제… blog.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