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제 나이 계산법 상령일과 적용되는

안녕하세요~ 쉬운 B O 시험에 하 팀장 인사드리겠습니다

우리가관심있는부분에대해서전문가에게의뢰할때이름,생년월일,직업,병력을물어보면거기에대한답변을하면

알려준 대로 설계하면 될 텐데 생년월일을 왜 묻는 것일까.아마 의심이 가셨을 거예요

주민등록번호13자리는아니지만이것도개인정보이기때문에민감할수가있는데요.

전문가들이 왜 물어보는지 지금부터 설명하겠습니다.

생일을 기점으로 할 경우 실제 연령부터 (2세) 이미 지난 경우 (-1세) 처럼 적용됩니다.

그러면 주민등록상 생년월일을 기준으로 바뀔 수 있다고 생각하는 분들이 의외로 많았습니다.

하지만 그렇지 않아요.우리가 알고 있는 방식과는 달라요.

해가 바뀌거나 생일이 지났다고 해서 변경되는 것이 아니라, 생년월일을 기준으로 전후 6개월을 1년으로 계산하는 방식입니다.

실제 만연령으로 6개월 미만의 단수는 버리고, 6개월 이상의 단수는 1년으로 계산하며, 이후 매년 계약 해당일에 증가하는 것입니다.

매년 이와 같이 정해진 날로 변경되기 때문에 이를 ‘상령일’이라 부르는데,

약관에는 어떻게 명시되어 있는지 살펴봅시다.

어… 저만 어렵나요?예를 들어서 설명해 드릴게요.

실제나이 42세이고 1979년 11월 20일생이면 아직 생일이 지나지 않았을 뿐이고 딱 40세입니다.

79년 11월 20일부터 6개월을 더하면 5월 20일인데, 매년 이 날짜를 기준으로 1살을 (+)해주세요.

이게 바로 상령일 계산법이에요.

설마 이곳에서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시는 분은 안 계시겠죠?

그렇다면 적용되는 연령은 어떻게 계산하면 좋을까요?

아까 말씀드린 42세는 생일과 상령일 모두 지나지 않았지만 나이와 같은 40세입니다.
또 다른 예로서 1976년 10월 25일생을 대학입시해 보겠습니다 실제 나이 45세/만 43세입니다만

10월 25일부터 6개월을 더한 4월 25일로 매년 변경되는 날로, 지금은 5월이므로 상령일은 이미 지났기 때문에 43세부터 1세를 더해 44세가 됩니다.
마지막 예시예요.

83년 1월 1일생, 실제 나이 38세/만 37세/상령일 7월 1일~7월 1일은 아직 멀었죠?

그러면 몇 살부터 적용이 될까요?37세입니다.
만약 나이를 기준으로 상한일이 지나면 (+1)만 지나면 (0) 이렇게 생각하면 쉽습니다.

여기서 꼭 명심해야 할 점은 모든 회사가 공통으로 적용하지만 오히려 하루 앞당겨 적용하는 곳도 있습니다.

연령대와 상품에 따라 다르지만 한 살 올랐다고 무조건 금액이 오르는 것은 아니지만 위험률이 더 높아진다고 가정할 때 더 많은 인상이 가능합니다.

차일피일 미루고 예약하려 했지만 이미 적용되어 월납료가 인상되면 가입 여부를 고민하게 될 것 같습니다.

한 달만 따지면 별 차이가 없어 보이지만 20년을 유지한다고 가정하면 1천원 차이에서도 24만원이라는 목돈을 더 지출하게 됩니다.

따라서 2~3일 정도는 여유있게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단순히 비용적인 문제 뿐만 아니라 담보를 넣지 못하거나 등록에 제한이 생길 수 있으니 매우 중요하니 현재 관심있으셔서 고민중이시면 하루나 이틀 차이로 손해보지 않도록 상품자세한 사항은 꼭 체크해주세요~!

오늘 정보가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면서 다시 한 번 인사드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