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법 및 절세포인트 [해외 주식] 미국주식 양도소득세 신고

양도소득세는 키워드만 따놓고 연말까지 많이 남았으니까 나중에 쓰자~ 한 게 엊그제인데…? 시간이 왜 이렇게 빠른거죠?

해외 주식에 투자할 때 기억해야 할 3가지 환전 수수료 배당 소득세 그리고 양도 소득세!

원래 한국시장 9:미국시장 1위였는데 올해 5월부터 미장시장으로 잠깐 옮겼는데 너무 잘했어, 마음이 편해지는 우상향 차트.. 한국시장 반성하고 있어, 정말. 미장이라서 더 못들어간 나도 반성해!
!
!

미국시장에 많이 못들어간 이유: 미장이는 장투라 생각하고 계속 가져가려고 했으니까 오른건 적당히 팔고 현금 확보한후 다른건 들어가도 괜찮겠다 싶어서 나도 공부할 겸 양도소득세에 대해 알아보기로!

해외주식 양도소득세(2021년)

과세표준 = 매각금액 – 인수금액 – 제비용 – 기본공제

미국 주식은 한국 주식과 달리 수익을 실현하면 양도소득세를 부과하기 직전 연도 매매차익에서 250만원을 뺀 뒤 22%의 양도세율 적용

  1. 수익기간 202101012211231간의 수익 다만 미국주식의 경우 매매후 영업일 3일째에 권리가 확정되므로 2021년 12월 28일 수익까지 당해연도 소득으로 계상된다.
  2. 2.납부기한 20220501~0531 사이에 신고
  3. 3. 신고방법 홈텍스에서 직접 하거나 증권사 신고대행 이용만 약 250만원 이상의 차익이 발생했는데도 신고를 하지 않거나, 신고하지 않을 경우 각각 10%, 20%의 납부세액 추가가산세가 부과되오니 꼭 챙겨주시기 바랍니다

절세의 요령

첫째, 손실매도를 통해 절세가 아닌 절세?예를 들어 위의 사진처럼 엔비디아 410만원 수익, 어레이 180만원 손실일 경우 둘 다 팔면 수익은 223만원이고 기본공제 250만원 내로 들어간다.
나는 이 방법을 통해 CWEB 같은 노답 비중을 좀 줄여보려고 해^^..

둘째, 가족 간 주식 증여에 따른 절세난 미혼에 자녀도 없어 아직 할 수 없지만 배우자는 10년간 6억원, 성인 자녀 및 직계 존속은 5천만원, 미성년 자녀는 2천만원까지 증여해야 절세가 가능하다는 것.

2023년 개정사항 2023년부터는 분기별 원천징수로 개정된다.
2020년 6월 첫 개정안에서는 매월 원천징수였으나 반발이 거세지자 1년에 2번으로 수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110, 710으로 나누어 2회 납부하여 상반기에 소득이 발생하여 하반기에 손실이 발생한 경우 하반기 원천징수 시 환급 아래에 예를 듭니다.

상하반기 원천징수 합계(상반기 납부 55만원)가 연간 원천징수세액(연간으로 계산하면 이익 0원이므로 세액도 0원)을 초과하면 하반기 원천징수 때 차액 환급되면 이익 0원, 양도소득세도 0원이다.

나중에 갚아줄 테니 괜찮지 않느냐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1) 상반기에 낸 세금만큼 시드가 줄어들고 2) 하반기에 돌려받더라도 그만큼의 재투자 기회가 사라지는 것이기 때문에 투자자들에게 마냥 불리하게 돌아가는 게 맞다고 본다.

일 년에 한 번 하기도 귀찮은 걸 분기로 나눠서 더 귀찮게 하는 거 아시는 분?아직 확정된건 아니고 계속 지켜봐야겠지만.. 어쨌든 이건 기다려보고 내년에는 올해보다 더 큰 수익을 위해서 화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