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류
『내경』에는 “포胞에서 방광으로 열이 이동하면 용이나 요혈이 된다”고 했다.
○ 장기 장기는 “열이 아랫부분에 있으면 피가 난다”고 말했다.
○ 혈액은 소변에서 나오지만 몸이 아플 때나 소변에 혈액이 섞일 때는 방광에서 나온다.
피를 흘려도 통증이 없는 것은 심장의 열이 소장으로 전도되어 요도를 통해 빠져나가기 때문이다(『의학의 정경』).
○ 오줌에 혈흔이 있어도 아프지 않으면 오줌 혈이지 병이 아니다.
이것은 소장으로 들어가는 심장의 열에 의해 요도에서 새는 혈액입니다.
사물탕 치자, 활석, 히술, 금, 매자나무를 넣거나 화산산, 숙신산을 사용한다(『의학개론』).
○ 소변에 피가 새는 것은 심장의 열이 소장에 숨어 있다는 뜻이다.
팔정산에 맥문동을 더해 끓여 먹는다(『백경구현』).
○ 요혈은 청장탕, 청결자음탕, 소계음자, 강밀탕을 이용하거나 사물탕에 오령산을 넣어 먹는다.
술로 인한 혈뇨는 복령조혈탕을, 과도한 성교로 혈뇨가 있는 경우에는 녹각교환이나 신기환을 쓴다.
어른은 육미지황환, 여자는 동위산, 아이는 이표산을 입는다.
○ 해열, 설사에는 동귀승기탕으로 한다.